본문 바로가기

소통과 교류

> 소통과 교류 > 교류마당

마을도서추천

2022년 8월의 추천도서: 우리 마을을 기록합니다.

2022-08-03

마을관련도서 #책을_읽읍시다 #마을 기록

우리 마을을 기록합니다. :지역 아카이브 이론에서 사례까지


김명옥 , 한정은 , 이경란 , 이동준 , 배은희 , 강성봉 지음 | 선인 | 2021년 12월 30일 출간


📚 한줄 책소개 ▶ 지역 아카이브는 지역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그릇이다.

이야기는 지역의 사람들의 눈과 마음을 한데 모으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 나의 생활 주변,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이야기를 새로운 형식으로 접하게 될 때 지역 사람들은 지역의 문화에 흥미를 느끼게 되고 스스로 지역 사회에 속해 있음을 느끼게 된다. 모든 지역에는 이야기가 있고 그 이야기의 소재가 되는 장소와 사물, 그리고 인간이 살아가고 있다. 지역의 산과 바다, 하천과 호수, 논과 밭, 오래된 길과 마을의 노거수에도 이야기는 있다. 물론 지역의 문화유산, 마을의 골목과 건물, 집집마다 전해져오는 사진과 문서와 같은 기록물도 저마다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사람 사는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무엇보다 각자의 기억은 지역에 관한 새로운 이야기를 풀어갈 수 있는 가장 핵심적 소재가 된다.


비록 재미있는 이야기꾼은 아니더라도 한 사람의 살아온 이야기를 들을 때 우리는 그의 인생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되며 그가 속했던 지역의 시간과 공간의 의미가 내가 평소 느끼던 바와는 달랐음을 알게 된다. 나아가 오늘의 내가 살아가는 공간이 다양한 삶의 행로가 얽히고설켜 만들어진 것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런 한 사람 한 사람의 기억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지역의 서사, 지역의 이야기는 도시화, 획일화되어가는 우리 삶의 자리에 신선한 감동을 선사하며 다시금 나와 공동체의 삶의 성찰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준다.


지역 아카이브는 그런 지역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그릇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지역 민간기록물 아카이브는 지역 사람들의 이야기와 그 이야기의 소재와 주제가 되는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 및 역사문화자원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것을 일정한 방식으로 분류하여 보관하며, 시민들이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게끔 하는 장치이다. (책머리에 中)

  • 책소개에서

마을 잡지, 마을을 기록하다 ; 경기아카이브총서 3|경기도 메모리 (library.kr)

::: 사이다 ::: (magazine-saida.com)